블로그 이미지
GUCCI

카테고리

전체보기 (111)
여행 (1)
기기 (2)
쇼핑 (0)
게임 (0)
etc. (6)
취업이야기 (0)
업무일지 (5)
리눅스 (38)
웹프로그래밍 (2)
네트워크 (4)
JAVA (17)
Android (0)
IOS (2)
LUA (8)
C/C++ (1)
Objective C (2)
SERVER (2)
그누보드4 (1)
MSSQL (2)
Programming (1)
자바스크립트 (4)
HTML/CSS (1)
LGNAS (0)
Total
Today
Yesterday
sysctl 명령어는 커널 runtime 시에 커널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때 사용
시스템의 /proc/sys 디렉토리밑에 있는 커널 매개변수를 제어

사용
sysctl [option] 파일명 or 파일명=값

옵션
-a : 현재 커널 매개변수와 값을 보여줌
-p : sysctl 환경변수파일 (default : /etc/sysctl.conf)의 설정 상태 표시
-n : 특정키에 대한 값을 보여줌
-w variable=value : 변수에 값을 설정
-A : 테이블형태로 설정가능한 파라미터를 보여줌 

예문
현재 커널의 매개변수값을 출력
sysctl -a


리눅스마스터1급 2차 14회 15번 문제
sysctl 을 이용해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값을 설정
sysctl -w net.ipv4.icmp_echo_ignore_all=1

sysctl 이 /proc/sys 이하의 디렉토리 밑에 있는 커널 매개변수를 제어하는데,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의 경우 기본 /proc/sys 를 제외하고
net 부터 . 으로 디렉토리를 구분하여 변수명으로 설정된다.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의 설정은

net.ipv4.icmp_echo_ignore_all 변수가 된다

'리눅스 > 리눅스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퍼미션 permission  (1) 2012.02.15
vlan vconfig  (3) 2012.02.15
insmod, rmmod, lsmod, modprobe  (3) 2012.02.14
test 명령어  (3) 2012.02.14
at 와 crond 명령어  (2) 2012.02.14
Posted by GUCCI
, |
insmod : 모듈 적재. 커널 디렉토리를 뒤져서 해당 모듈을 적재한다


■ 형식 : insmod [옵션] [오브젝트파일]

■ 옵션
  -k : autoclean 을 사용하여 적재



■ rmmod : 모듈 삭제

■ 형식 : rmmod [옵션] [모듈]

■ 옵션
  -r : 의존관계에 있는 모듈을 한번에 삭제



■ lsmod : 적재된 모듈 출력(/proc/modules 를 참조한다)

■ 형식 : lsmod [옵션]

■ 옵션
  -V : lsmod 버전 출력



■ modprobe : 모듈 적재. depmod에 의해 갱신된 modules.dep에서 찾아 적재한다. insmod와 달리 해당 커널 디렉토리로 갈 필요없이 아무위치에서나 모듈을 적재할수 있다. 또한 의존성이 필요한 모듈이나 먼저 실행되어야 할 모듈이 있다면 그 모듈부터 적재하고 해당 모듈을 적재한다

■ 형식 : modprobe [옵션] [오브젝트파일]

■ 옵션
  -k : autoclean 을 사용하여 적재
  -r : 모듈 삭제



■ depmod :
 의존성 검사를 한뒤 modules.dep 파일을 갱신한다. kernald나 modprobe를 실행하기 전엔 꼭 depmod -a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인다

■ 형식 : depmod [옵션]

■ 옵션



■ modinfo : 모듈 정보 확인

■ 형식 : modinfo [모듈명]



* autoclean

autoclean라는 플레그를 사용하면 커널 데몬(kerneld)에 의해 일정시간 사용하지 않는 모듈을 삭제한다. 단 커널 컴파일시 kerneld 지원 여부를 물을때 Y를 해야 사용 가능

'리눅스 > 리눅스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vconfig  (3) 2012.02.15
sysctl 명령어  (2) 2012.02.15
test 명령어  (3) 2012.02.14
at 와 crond 명령어  (2) 2012.02.14
grep 명령어 와 활용  (7) 2012.02.13
Posted by GUCCI
, |
 :  아무 것도 수행하지 않고 종료 상태만 0으로 반환한다.
.file 마침표(.)명령어는 파일을 읽어서 실행한다. 
break[n] '루프'부분 내용 참조 
현재 쉘 내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ource 명령어와 동일) 
alias 별명의 목록을 출력하거나 새로 생성한다. 
bg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보낸다 
bind  readlind 함수나 매크로에 대한 현재 키와 함수 바인딩, 바인드 키를 보여준다. 
break  가장 안쪽의 루프를 탈출한다 
builtin [sh-builtin [arg]]  내장 명령어를 실행시킨다. 인자를 전달할 수 있으며, 종료 상태를 0으로 반환한다. 함수와 내장 명령어의 이름이 같은 경우 유용하다. 
cd [arg]  인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ommand command [arg]  함수와 동일한 이름일지라도 명령어를 실행한다.(함수를 찾아보는 과정이 생략됨) 
continue [n]  루프의 내용을 참고하라. 
declare [var]  모든 변수를 보여주거나, 특정 속성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한다. 
dirs  pushd 이후에 현재 기억된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준다. 
disown  작업 테이블에서 활성 작업을 제거한다. 
echo [args]  인자를 반향(echo)한다. 
enable  쉘 내장 명령어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 
eval [args] 실행 전에 명령행의 내용을 두 번 검사하게 한다. 한 번은 쉘이 인자로써 해석하고, 또 한 번은 명령어로써 실행한다.

exec command 현재 쉘에서 명령어를 실행한다.
exit [n] 종료 상태를 n으로 반환하고, 종료한다.
export [var] 자식 쉘에게 var를 상속한다. 
fc  히스토리 목록을 편집하기 위한 명령어(fix command) 
fg  백그라운드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가져온다. 
getopts  명령행에서 지정한 유효한 옵션을 추출하기 위해 스크립트에서 사용한다. 
hash  명령어의 빠른 수행을 위해, 내부 해시 테이블을 제어한다. 
help [command]  내장 명령어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한다 
history  히스토리 목록을 행 번호와 함께 출력한다. 
jobs  백그라운드의 작업 목록을 출력한다. 
kill [-signal process] 지정한 PID번호나 작업 번호에 시그널을 보낸다. kill -l 참조 
let  산술식을 평가하거나 산술 계산의 결과를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한다. 
local  변수의 통용범위를 함수 내로 제한하기 위해 사용한다. 
logout  로그아웃 
popd  디렉토리 스택의 항목을 제거한다. 
pushd 디렉토리 스택에 항목을 추가한다.
pwd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read [var] 표준 입력에서 읽은 내용을 변수 var에 저장한다. 
readonly [var] 변수  var를 읽기 전용으로 만든다. 변수 var를 재설정할 수 없다.
return [n] 종료 상태를 n의 반환하고, 함수로부터 복귀한다. 
set  옵션과 위치 인자를 설정한다. 
shift [n] 위치 인자를 지정한 n회 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stop pid 지정한 pid의 프로세스를 중지한다.halt
suspend 현재 쉘의 수행을 정지시킨다. 
test 파일 유형이나 조건식을 평가한다. 
times 현재 쉘에서 수행된 프로세스들의 수행시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trap [arg] [n] 쉘은 시그널 n에 대해 arg를 수행한다.
type [command] 명령어의 유형을 출력한다. 
typeset 변수의 설정이나 속성을 지정한다. declare와 동일하다 
ulimit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최대 한계를 설정한다. 
umask [octal digits] 파일 생성 시에 적용할 권한(소유자, 그룹, 다른 사람)을 설정한다. 
unalias  별명의 설정을 해제한다. 
unset [name]  변수나 함수의 설정을 해제한다. 
wait [pid#n]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는 지정한 pid의 프로세스가 종료할 때가지 스크립트를 중지한다. 

'리눅스 > 쉘스크립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쉘 프로그래밍 강좌  (2) 2012.02.09
쉘스크립트 조건문  (7) 2012.02.08
쉘스크립트  (1) 2012.02.08
#!/bin/sh  (3) 2012.02.08
Posted by GUCCI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