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GUCCI

카테고리

전체보기 (111)
여행 (1)
기기 (2)
쇼핑 (0)
게임 (0)
etc. (6)
취업이야기 (0)
업무일지 (5)
리눅스 (38)
웹프로그래밍 (2)
네트워크 (4)
JAVA (17)
Android (0)
IOS (2)
LUA (8)
C/C++ (1)
Objective C (2)
SERVER (2)
그누보드4 (1)
MSSQL (2)
Programming (1)
자바스크립트 (4)
HTML/CSS (1)
LGNAS (0)
Total
Today
Yesterday

mount

리눅스 / 2012. 2. 9. 08:51

mount 란?

파일 시스템 구조를 사용자나 사용자 그룹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리눅스 환경에서 mount 명령은 논리적으로 디스크와 디렉토리를 연결시켜주는 명령이다.

윈도우 환경에서는 파티션을 생성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브명 (C, D 등등)이랑 파일시스템이 연결 되지만 Linux에서는

관리자가 직접 파티션을 직접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해야 한다. 바로 이것이 마운트 !!!

   

지금 리눅스가 깔려있는데 난 어떤 파티션에 어떤 디렉토리가 연결 되어있는지 몰라!! 하시는 분들은

mount 란 명령어를 아무 옵션 없이 한 번 써보자.

   

   

이렇게 쭈욱~ 나온다! 첫 번째 문장만 해석해 보면 /dev/sda2 란 장치가 / (최상위 디렉토리) 랑 파일시스템 ext3으로 마운트 되어있다는 것이다. 이런식으로 파티션들은 디렉토리랑 마운트가 되어있어야만 사용 가능하다.

   

   

마운트를 사용해 파티션과 디렉토리를 연결하는 방법 두 가지를 소개하겠다.

우선 mount 명령어를 사용해 연결하는 방법

형식은

mount [ 옵션 ] [ 장치 ] [ 디렉토리 ] 예 :) mount -n /dev/sda3 /test

   

옵션의 종류는

-a : /etc/fstab에 적혀있는 파일시스템 중에 연결이 끊어져 있는 것들만 마운트해서 다시 연결한다.

/etc/fstab 파일은 좀 더 아래로 가면 자세히 적어 놓았다.

-n : /etc/mtab 파일에 정보를 남기지 않고 마운트 한다. /etc/mtab 파일이 뭐하는 파일이냐고?

마운트 된 것들의 정보를 저 파일에 기록해 놓는다. 관리자가 일반 유저들이 mount 명령어를 사용해

현재 시스템에 어떤 파티션이 어떤 디렉토리랑 연결 되어있는지를 확인할 때 일반 유저들한테 비밀로 하면서

마운트 시키고 싶을 때 이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아래에 그 사용 예를 기록해 놓았다.

   

옵션의 종류는 좀 더 있지만 다른 옵션은 별로 쓸 곳이 없을 거 같아 안 올리겠다.(너무 마음대로…)

-n 옵션의 활용 예를 보여주겠다.

우선 현재 마운트 되어있는 리스트이다.

   

이 정보는 위에서 옵션에 대해 설명할 때 말했던 것처럼 /etc/mtab에 있는 파일을 읽어 온 것이다.

그럼 실제로 /etc/mtab에는 어떻게 기록이 되어있는지 보자.

   

완전 비슷하네?

   

이제 /etc/mtab 파일을 확인해 봤으니 -n 옵션을 사용해 마운트 해보겠다.

   

/dev/hda3 가 마운트 되었다는 정보가 보이는가? 안 보인다. 하지만 연결은 되어있다.

   

여기서 보이는 lost+found는 파일시스템 ext3 을 사용할 때 저널링 기능 때문에 생기는 디렉토리이다.

저널링 기능은 작업 중이던 프로세스가 예기치 못한 종료를 맞이할 때 비휘발성인 하드디스크에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이다. 쉽게 말해 어떤 작업을 하다가 갑자기 전원이 나가서 종료 되었을 때 다시 컴퓨터를 키면 작업하던 게 날라가는 것이 아니라 다시 이어서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이게 저널링 기능이다. lost+found 디렉토리 이야기 하다가 뭔 소리냐고요?

비휘발성인 하드디스크에 임시적으로 저장 되는 장소가 바로 저 lost+found 이다. 각 파티션 별로 저 디렉토리는 존재한다.

   

이번엔 mount 명령어를 사용해서 연결했던 것을 해제 해보자.

매우 간단하다.

umount [ 옵션 ] [ 장치 or 디렉토리 ] ex :) umount /dev/sda1 or umount /test

옵션의 종류는

-a : 마운트 되어있는 모든 파일시스템을 해제할 때 사용한다. 웬만하면 사용하지 말기를…

-f : 강제로 연결해제 할 때 사용한다. 보통은 NFS 서비스에 연결 되어있는 파일시스템을 해제할 때 사용한다.

이건 따로 올리진 않겠다.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이번엔 마운트 설정을 하는 또 다른 방법을 소개하겠다.

바로 /etc/fstab 파일을 수정해서 하는 mount 하는 방법이다.

/etc/fstab 파일을 읽어보면…

1번 필드 2번 필드 3번필드 4번필드 5번 6번

   

1번 필드 : 디바이스 이름

2번 필드 : 마운트 된 디렉토리

3번 필드 : 파일 시스템 타입

4번 필드 : 자동 마운트 여부

5번 필드 : dump 기능 사용 여부 dump기능 : 백업기능

6번 필드 : 부팅시 파일시스템 체크를 할 것인지 여부

0은 체크 안 하겠다. 1은 root의 파일시스템을 체크하겠다. 2는 root 파일시스템 말고 나머지 파일시스템 체크

   

4번 필드에는 여러가지가 올 수 있다. defaults 에는 auto, rw, suid, dev, exec, nouser, async 옵션을 기본 포함하고 있다.

auto :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된다.

exec : 실행 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게 한다.

ro : 읽기전용만 가능하게 한다.

rw : 읽고 쓰기기능이 가능하다.

user : 일반 사용자들도 마운트 할 수 있게 한다.

nouser : 일반 사용자들은 마운트 할 수 없게 한다.

noauto : 부팅시 자동으로 망누트 되지 않게 한다.

noexec : 실행파일을 실행되지 못하게 한다.

   

위에서 보면 1번 필드에 LABEL 어쩌구가 보일 것이다.

Label은 장치를 참조하는 방법이다.

파티션에 어떤 label 이 지정 되어있는지 확인 하는 방법은 e2label [장치명] 이다.

   

/dev/sda1 은 라벨이 /boot 가 붙어있는 것이고 /dev/hda3 은 라벨이 지정 안 되어있는 것이다.

Label을 지정해보자.

   

이제 /dev/hda3 은 라벨이 Sangmi 로 붙어 있는 것이다.

보통 라벨을 사용할 때는 ' LABEL=라벨명 ' 이렇게 같이 사용해야 한다. 그냥 달랑 라벨명만 사용하면 안 된다.

   

끝!마운트는 디렉토리랑 파티션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데 이때 디렉토리는 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한 연결고리라고 생각 해보세요.

[출처] Mount|작성자 hahaha

[출처] Mount|작성자 hahaha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 Redhat Package Manager)  (1) 2012.02.09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2012.02.09
APM 설치 옵션 정리  (1) 2012.02.09
/etc/inittab  (4) 2012.02.09
OpenWrt The Boot Process  (5) 2012.02.09
Posted by GUCCI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